🗨️ 원래 노트에 정리하려 했는데, 음. 노트가 너무 많아져서
빠르고 쉽게 보기 위해서는 역시 블로그 정리가 제격이라 생각했다. 필요할 때 바로 볼 수 있고
교수님이 DNS 서버도 안 구축해 봤냐고 닦달을 하셨따...
설 연휴에 할 것도 없으니 서버나 만들어봐야겠다 하고 만들어 보았다.
간단하다.
질문
- 네임서버 n1, n2 의 차이?보통 n1 네임서버에 쿼리 요청을 주로 처리함.가용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n1, n2 을 다른 네트워크 스위치에 배치 혹은 아예 물리적으로 배치하기도 함.
- 그런데, n1 네임서버가 갑자기 처리를 못하면 네임서버가 n1을 대신하여 쿼리를 처리한다.
- 둘 다 같은 네임서버고, 음.. 복제된 예비용 네임서버라고 보면 될 듯.
기본 지식
- DNS
- 네임서버 ( Nameserver)
- DNS 질의 과정
실습
이 분 것을 참고하여 만들었다. 깔끔하게 잘 정리해두셨다.
우분투 네임서버 구축하기 (Install Ubuntu bind9 nameserver)
반드시 네임서버를 구축해야 할 경우가 아니라면, 직접 구축하지 말고 다음의 글로 이동하여 무료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. 무료 DNS 서비스 모음 도메인 네임서버란? Domain Name Server 는 “네임서
blog.lael.be
1. 18.04 LTS (기억이 안 남) 우분투 2개를 구성
Name server : 192.168.175.128
2. bind9 설치
seleuchel@ubuntu:~$ sudo apt install bind9
이 bind9를 이용해 네임서버를 만들 것.
3. /etc/bind/named.conf.options 수정
여기 아래 빨간 박스 부분을 추가해 주었음.
- dnssec-validation auto :
- auth-nxdomain no :
- listen-on-v6 :
- recursion yes : 내 db에 없는 질의도 응답을 해 주겠음
- allow-transfer :
- forwarders :
- forward only :
- allow-query : 질의 허용 가능한 ip(도메인)
4. /etc/bind/named.conf.local 수정
여기 빨간 박스 부분을 추가함. 나는 naver.com을 다른 ip로 지정하기 위해 이렇게 작성함!
5. /etc/bind/db.naver.com 작성
네이버 도메인에 관련된 db를 작성함.
내용을 이렇게 채워 넣는다.
참, 나는 추후 실습을 위해 naver.com에 대한 질의 결과를 네임서버와 동일한 IP로 지정해주었다.
- $TTL 86400
- @
- IN
- SOA
- localhost.
- root.localhost.
- Serial
- Refresh
- Retry
- Expire
- Negative Cache TTL
- NS
- A
- blog IN A 192.168.175.128
6. 문법 검사
seleuchel@ubuntu:~$ sudo named-checkconf
seleuchel@ubuntu:~$ sudo named-checkzone naver.com /etc/bind/db.naver.com
7. 서비스 시작
seleuchel@ubuntu:~$ sudo service bind9 start
자, 이제 테스트를 해 봅시다.
테스트 환경 구성하기
1. 아파치 서버 구성
seleuchel@ubuntu:~$ sudo apt install apache2
seleuchel@ubuntu:~$ sudo service apache2 start
// 그리고 /var/www/html/index.html 을 적절하게 수정해주었음
2. [client] /etc/resolv.conf에 네임서버 설정하기
네임서버를 추가해주었다.
seleuchel@ubuntu:~$ sudo service networking restart
수정 후 명령을 입력하면, 네임서버가 우리가 만든 네임서버로 지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클라이언트에서 테스트 하기
1 .[client] nslookup 결과
naver.com → 192.168.175.128
아까 db.naver.com에서 지정한 IP로 응답이 왔다!
2. [client] naver.com 접속 결과
네이버로 접속하면 이렇게 뜬다!
아까 db에서 설정했던 blog.naver.com도 마찬가지!
### /etc/resolv.conf 서버 시작 시 초기화되는 경우
https://growingsaja.tistory.com/162
기타 삽질
- 맨 처음에 client로 https://naver.com을 접근해버려서 네임서버 수정 후, naver.com로 접근 시에 db에서 지정한 IP에서 제공하는 웹페이지가 보이지 않았다!
- 그래서 dns 캐시 제거 등을 모두 하였으나, 해결하지 못했었는데, firefox 브라우저의 Library의 history를 다 지우고 다시 접근하니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다. 굿굿
- 노션에 썼다가 티스토리로 옮기는 시간이 실습 시간보다 더 길었음...
'서버 및 해킹 환경 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메일서버 구축 (sendmail) (0) | 2022.05.04 |
---|